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고객센터
  2. 음향기술/노하우

음향기술/노하우

현장 엔지니어들의 음향기술/노하우를 공유합니다.

상품 게시판 상세
제목 헤드셋 마이크에 대하여
작성자 대표 관리자 (ip:)
  • 작성일 2009-07-08 20:26:07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1199
평점 0점
 

헤드셋 마이크에 대하여

  

몇 년 전만 해도 컨트리 가수인 Garth Brooks의 친구들과 그의 동료들은 그가 라이브 공연이나 뮤직 비디오에서 사용했던 헤드셋 마이크가 흡사 카우보이식 항공 관제사처럼 보인다고 놀려대곤 했었다. 시대가 바뀌어서 이제는 그들 중 누군가가 여전히 웃고 있다면 그들은 자신의 헤드셋 마이크를 통해 그렇게 하고 있을 것이다.
관객들은 좀 더 스펙터클한 시각적 효과를 원해왔기 때문에 공연자들은 점점 더 역동적인 무대 매너와 활동성을 강조하여 왔다. 공연 기획사 또한 헤드셋 마이크의 사용을 확대하여 왔고 무대 안무가도 이제는 그들의 머리에 완벽하게 밀착된 헤드셋을 활용하고 있다. 새로운 소형 마이크 기술인 무선 보디 팩 트랜스미터와 현대적인 헤드셋 소재와의 밀접한 결합으로서 무대 보컬들은 활동성, 음질 그리고 장비 의존성의 부분에서 새로운 장을 맞이하게 되었다.
믹서 조정을 하는 사람들도 또한 현대적인 헤드셋 마이크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이점들을 환영하고 있다. 무선 핀 마이크는 공연자의 손을 자유롭게 해 주었지만 치명적으로 마이크가 입에서 더 멀어지거나, 피드백 전 게인이 감소되면서 그 손들 또한 가슴 부위에서 내려갔다. 공연자들이 노래를 하거나 말하기 위해 다른 방향으로 고개를 돌릴 때마다 그들의 음성은 가끔 순간적으로 작아지곤 한다. 대부분의 라이브 사운드 오퍼레이터들에게 있어서 보컬리스트의 핸즈 프리 기능은 명료한 보이스 픽업 성능과 비교할 것이 못 된다. 보컬리스트의 고개가 다른 곳으로 얼마나 돌려지는 지와 무대에서 얼마나 역동적으로 공연하는 지와는 상관없이 가수의 입과의 거리가 항상 정확히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특성과 함께 헤드셋 무선 마이크는 핸즈 프리 성능과 피드백 전 게인 성능 면에서 최상의 만족도를 제공한다.
헤드셋 마이크는 무대에서의 보컬리스트와 안무가들을 위한 단순한 도구 이상이 되어 왔다. 이제 인터뷰장이나 토크쇼에서 사회자와 게스트에 쓰이는 헤드셋 마이크들이 일상화되었다. ESPN 해설자들은 그들과 게스트들이 라이브 스튜디오나 필드의 청중들의 정면에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마이크들이 제공하는 매우 높은 피드백 전 게인 특성이 PA 믹스를 보다 관리하기 쉽게 만든다는 것을 알고 있다. 방송 믹스 또한 핀 마이크가 사용된 라이브 SR 상황보다 훨씬 더 잔향이 적다. 조명 감독들 조차도 ‘마이크 지지대의 그림자’라는 오래된 저주로부터 자유롭게 되었다. 헤드셋 마이크 덕분에 프로덕션 팀 구성원 모두 무엇인가를 얻는 것 같다.

 

연결성
소형화된 핀 마이크와 함께 사용되어 졌던 것과 동일한 바디팩 무선 마이크 트랜스미터와 함께 활용되는 경우 헤드셋 마이크는 대폭 향상된 활동성을 제공한다. 물론 바디팩 트랜스미터에 부착된 마이크 케이블 커넥터는 반드시 소형이어야 하며 이러한 연결에는 항상 사용되었던 XLR 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커넥터 형태와 방식이 있다. 커넥터의 대부분은 다양한 제조사에서 공급되고 있고 몇몇의 서로 다른 이름을 갖고 있다. 소형의 헤드셋 마이크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커넥터는 mini-XLR이며 이것은 Tini-QG 또는 TA4F로도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4”는 핀의 수를 의미하며 A3M과 A3F가 표준 XLR 마이크 케이블 커넥터에서 3개의 핀을 가리키는 방식과 유사하다. Shure사에서 만든 마이크 핀 지정 방법이 현재 헤드셋 연결 방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1번 핀-실드, 2번 핀-바이어스 전압, 그리고 3번 핀-오디오 신호이다. 4번 핀은 접지로 가는 20kohms 저항이며 이것은 컨덴서 마이크와 함께 사용될 경우에는 3번 핀으로 점퍼된다. 밝은 쪽에서 자세히 보면 핀 번호들이 잘 보이게 될 것이다.
Hirose사의 4핀 HRS 커넥터는 불안정하게 고정된 바디팩 트랜스미터 성향이 있는 무대 활동을 하는 공연자들에게 선호되는, 좀 더 신뢰할 만한 형태중의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문제는 이 HRS와 함께, 그 커넥터가 단락되거나 회로가 고장이 나기 전에 이 마이크 트랜스미터가 먼저 고장이 날 것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HRS4F가 4핀 커넥터이듯이 핀들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명명된다. HRS는 재질이 황동이어서 견고하며 착탈이 쉽고 잠금 링이 있다. 역동적인 헤드셋 마이크 중에서 널리 알려진 것은 B-lock 미니 커넥터이며 이것은 1/8” 미니 오디오 커넥터가 스크류 락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Lemo 커넥터 또한 다양한 모델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특히 암수가 함께 있는 키 배열의 S-시리즈 Lemos에 사용된다. 각 커넥터는 반은 암이고 나머지 반은 수 이어서 비주얼 얼라인먼트가 필요 없이 연결되거나  한쪽 단말만 연결할 수 있다.

 

 

 


특수기능
헤드셋 마이크에서의 최근의 진보 중의 하나는 픽업 패턴이 선택 가능한 교환형 마이크 캡슐이다. 이들 가운데에는 단일 지향성과 전 지향성 캡슐이 있으며 각각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자신만의 장단점을 갖고 있다.
단일 지향성 캡슐은 피드백 전 게인을 최대치까지 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높은 배경 노이즈가 있는 환경이나 플로어 모니터 스피커의 음압이 매우 높은 무대 같은 곳에 적합하다. 사실 높은 모니터 레벨을 사용하는 수많은 공연자들은 무대에 있는 플로어 모니터 대신에 인이어 모니터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솔루션은 음성 신호가 공연자의 입과 최단거리 내에서 픽업될 수 있게 하면서 모니터 사운드가 직접 공연자에게 전달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어쿠스틱 피드백을 피하는 데에도 탁월하다.  그러나 인이어 모니터는 또한 전 지향성 마이크가 필요한 경우 공연자들이  전 지향성 마이크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렇다면 우선순위로서 피드백 전 게인 특성과 함께, 왜 어느 누구도 전 지향성 헤드셋 마이크를 전혀 사용하려 하지 않는가? 헤드셋 마이크 중에서도 전 지향성은 자신만의 특징들을 갖고 있으며, 이들 중 하나는 헤드셋 마이크가 보컬리스트의 입에 매우 밀착되어 있어서 숨 쉴 때 생기는 팝핑 현상이 문제가 된다는 사실이다. 사운드 전문가들은 전 지향성 마이크가 “B”, “P”, 그리고 “T” 자를 발음할 때 생기는 팝핑에 덜 민감하다는 사실을 이전부터 인지하고 있었다. 이것이 현장 리포터들이 심지어는 매우 시끄러운 고속도로 현장에서 리포트를 하는 경우에도 EVRE55s와 EV635s를 오랫동안 사용해 온 이유이다. 또한 단일 지향성 마이크도 지향성 형태보다는 적은 근접 효과를 보여준다. 이것은 단일 지향성 마이크가 입 가까운 곳에서 사용될 경우에 노출될 수 있는 베이스 증폭 형태이다. 물론 바람의 원인이 공연자의 입뿐만 아니라 주변의 요인일 수도 있으며 전 지향성이 보여주는 동일한 팝핑 방지 기능은 주변의 바람으로 인한 노이즈까지도 감소시킨다. 헤드셋 마이크는 항상 일정한 동작상태에 있으며 전 지향성 캡슐은,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될 경우, 보다 적은 케이블 이동과 보다 적은 충격 노이즈의 측면에서 그들의 가치를 입증하였다. 헤드셋 마이크에 함께 쓰이는 수많은 붐들은 확장 가능하며 팝핑 노이즈가 중대한 문제가 된다면 약간이나마 짧아지게 할 수 있다.
컨덴서와 다이나믹 마이크 간의 선택 문제 또한 중요하다. 헤드셋 마이크의 컨덴서 모델 중에는 매우 다양한 픽업 패턴과 주파수 응답 스펙이 있다.  컨덴서 모델들은 주파수 특성에서 최상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소형이며 이동성이 있는 바디팩 트랜스미터에서의 팬텀파워의 필요성은 다소 문제를 복잡하게 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컨덴서 형태는 또한 다이나믹 캡슐만큼 팝핑 현상을 제어하지 못한다. 다이나믹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투박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헤드셋 다이나믹 마이크도 마찬가지이다.

 

내한성
헤드셋 마이크는 새로운 문제점을 야기하였고 그것에 대한 솔루션은 혁신적인 것이었다. 뜨거운 조명 아래에서 정열적으로 공연하는 사람들은 쉽게 땀을 흘리게 되며 이러한 땀은 얼굴 면을 타고 내려와 마이크 붐이나 지지대(stem)로 흘러가게 되며 결국엔 마이크 캡슐로 유입된다. 마이크 장비로의 이러한 땀의 유입은 마이크의 기능성에 치명적일 수 있다. 대부분의 붐 디자인에는 배관공이나 케이블 TV 설치 업자에게서 차용된 개념인 “드립 루프” 방식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땀을 마이크의 픽업 캡슐과는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다. 땀은 루프를 따라 흐르게 되며 루프의 다른 쪽으로는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 캡슐에 도달하기 전에 어디에도 해를 주지 않고 떨어져 버릴 것이다. 또 다른 보완 장치로서 어떤 디자인에는  배관공의 쇠고리와 유사한, 마이크의 바로 전단의 지지대 주위에 고정된 소형의 땀 방지용 비드가 포함되기도 한다. Umbrella Diaphragm을 가진 Sennheiser MKE2 Gold 같은 일부 모델들은 땀 방지용 기능을 전면적으로 광고하기도 한다.
마이크는 대개 이어 루프와 함께 고정되며 안경같이 착용한다. 좀 더 활동적인 공연자를 위한 고정 밴드도 있으며 이것은 뒷머리에 두르고 귀 쪽으로 연결하기 위해 탄성 있는 밴드를 사용한다. 연극용은 플로럴 와이어를 활용한 전용의 헤드셋이 요구되며 이것들은 모자, 머리장식, 특수효과용 캡(bald-caps)과 함께 사용되며, 그리고 심지어는 머리카락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와 함께 마이크 케이블은 플로럴 와이어를 따라 설치되며 열수축 튜브나 고무튜브와 함께 단단하게 고정된다. 만일 열수축이 사용된다면 적절한 가열이

헤드셋 마이크는 충분히 오랫동안 애용되어 왔고 시장에 다양한 종류의 우수한 제품들이 있을 정도로 대중화되었다. 앞에서 언급된 고려 사항에 기반을 두어 완벽한 마이크 매칭이 만들어 질 수 있었다.
AKG는 CK 77 WR의 헤드셋 버전으로서 깃털처럼 가벼운 C 477 WR을 제공하며 이 회사가 강조하는 것은 수분 및 땀 방지 기능이다. 이 모델은 듀얼 다이어프램 디자인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 디자인에서는 의복의 마찰에서 생기는 기계적 노이즈가 최소화되는 방식으로 그 출력이 합쳐진다. 붐은 얇은 포일로 된 드립 루프로 되어 있으며 캡슐은 어떠한 수분이나 땀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는 구조로 되어 있다.
C 477 WR은 공연자의 목의 뒷부분에 맞추기 위해 얇은 철제 밴드를 사용한다. 이 밴드는 머리와 목의 형상과 같아지도록 구부려질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 해서 현장에서 마이크를 고정하기 위해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마이크는 왼편이나 오른편 버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납이 벗겨지거나 입혀진 것 또는 Switchcraft 커넥터가 딸려 있고, 철망(wire mesh)으로 된 윈드스크린과 함께 검정, 백색 또는 베이지색으로 구입할 수 있다. 보다 초기의 버전은 주변 압력과 같게 하기 위해 캡슐에 작은 구멍을 만들었지만, AKG는 WR 모델의 경우  압력 변화에 내부적으로 부풀리게 하거나 수축되게 하며 캡슐이 수분에 대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밀봉된 구멍 형태를 적용하였다. 이 회사는 이 디자인에 대해 특허를 받았다.
프로페셔널 헤드셋 마이크의 가격 범위의 최저선에는 Audio-Technica ATM73a가 있다. 이 마이크는 콘덴서 형태의 다이어프램에서 카디오이드 픽업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AA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9mA, 9V~52V의 팬텀파워가 필요하다. 주파수 특성은 감도 56dB에서 60Hz~15kHz이다.  무게는 1온스 정도이며 커넥터는 인라인 AT-8530 파워 모듈(AA 배터리 포함)로 된 3ft 코드의 XLRM 형태이다. 최대 입력 신호는 135dB SPL 정격이다. 이 제품은 또한 4핀 HRS 커넥터도 사용할 수 있고 단말처리가 되지 않은 구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Audio-Technica AT892 MicroSet 전 지향성 콘덴서 헤드셋 마이크는 2005년 초경에나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MicroSet은 직경 0.09인치인 콘덴서 캡슐을 채용하고 있으며 극소형의 마이크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이 마이크는 예배당, 강의실, 방송국 또는 공연용으로 겨냥되고 있으며, 반사가 없는 흑색이나 공연용으로 적합한 베이지색 마감으로 되어 있다. 다양한 단말 처리는 Audio-Technica뿐만 아니라 다른 제조사의 무선 시스템과도 잘 호환된다. 액세서리로는 윈드스크린(2), 마이크 커버(2), 케이블 클립(1), 그리고 운반 케이스가 있다.
Countryman Associates는 가장 작고, 가장 가벼우며, 거의 눈에 띄지 않는 콘덴서 헤드셋 마이크인 E6를 출시한다. 이 마이크는 매우 작으며 사용자의 귀 주위에 고정하는 눈에 거의 띄지 않는 마이크 붐보다는 약간 크다. 주파수 특성은 50Hz~20kHz이며 매우 충실한 보컬 사운드를 제공한다. 이 제품은 전 지향성, 카디오이드, 그리고 하이퍼카디오이드 모델로 사용가능하며 이것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구입할 수 있다. E6은 또한 높은 사운드 레벨 모델에서 최대 145dB 까지의 SPL 스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마이크와 붐의 색상은 흑색, 밝은 살색 그리고 코코아색이 있다. 유선 모델은 프리앰프가 포함된 표준 XLR 커넥터와 함께 구입될 수 있으며 무선 모델은 고객의 조정이나 다른 종류의 무선 바디팩 트랜스미터와 호환하기 위한 특수 커넥터를 위해 접속용 선과 함께 사용가능 하다. E6은 겨우 0.07온스 정도이며 가격은 휴대용 가방, 벨트 클립, 3개의 보호용 캡 세트, 그리고 윈드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다.
Clockaudio의 CMH2000 초경량 헤드셋 마이크는 유연한 붐과 땀 유입 방지 기능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전 지향성 캡슐을 채용했으며 30Hz~ 18kHz의 주파수 특성과 115dB의 최대 음압 특성을 갖고 있다. 이 콘덴서 캡슐은 1.5V~9V DC의 팬텀파워를 필요로 하며 색상은 흑색과 베이지색이 있다. 무게는 약 0.9온스이다. 유선 마이크는 어떠한 종류의 오디오 커넥터와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쪽이 단말 처리되어 있지 않은 55인치 마이크 케이블로 되어 있다.
Crown Audio는 이제 막 CM-311A와 CM-311AE 마이크를 출시했으며 높은 주변 소음 방지가 필요한 무대 공연자들에게 적합하다. 이 콘덴서 마이크는 카디오이드 패턴이며 140dB 이상의 높은 SPL 정격과 왜곡에 자유롭고, 높은 레벨의 신호를 위한 팝 필터를 내장하고 있다. 이 디자인은 현장에서 마이크를 잘 지지할 수 있도록 튼튼한 이어 루프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CM-311A는 유선 모델이며 전원 스위치와 “mic on” LED가 포함된 배터리 벨트 팩을 연결하는 XLR 커넥터가 포함되어 있다. CM-311AE는 다양한 범위의 무선 마이크 바디팩 트랜스미터를 위한 적절한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 제조사는 XLR 커넥터는 CM-311AE에 사용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마우스 하우징은 충격에 매우 강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으며 헤드밴드는
얇은 철제 와이어이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가장 잘 밀착하게 구부릴 수 있다. 주파수 특성은 50Hz~17kHz이다.
DPA Microphones는 폴라 패턴 특성이 근본적으로 다른 DPA 4066과 DPA 4088 헤드셋 마이크를 출시하고 있다. 이전에 언급했던 모든 고려 사항에서, 4066이나 4088을 선택하는 것은 기대되는 동작 환경과 사용자의 선호도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것이다. 이 두 제품은 추가적인 안정성을 위해 사용자의 뒷머리와 두 귀의 루프를 감싸는 메탈 재질의 밴드를 갖고 있다. 최대 음압 레벨은 컨덴서 마이크에서 140dB 이상이며 48V 팬텀파워로 구동된다. 케이블, 커넥터 그리고 마이크 모두의 무게는 약 0.5온스이다. 4067 모델은 4066 모델의 저감도 버전이며 3V 전원 공급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Lectrosonics는 HM162 헤드셋 마이크를 제공하며 이 마이크는 유연한 마이크 붐과 함께 귀 위에 붙일 수 있는 밴드와 머리를 감싸는 밴드 기능이 있다. 이 장비는  조절 가능한 탄성체의 목 밴드와 함께 양방향, 듀얼 소재의 캡슐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 장치가 있는 마이크로와 5핀 커넥터와 함께 사용 가능한 HM162는 다양한 Lectrosonics 바디팩 트랜스미터와 함께 동작한다. 실제 바이어스 전압 범위는 1.3V~20V DC이다. 최대 음압 레벨은 120dB이며 주파수 특성은 200Hz~6kHz이다.
Mipro는 MU-55HN과 MU-53HN 헤드셋 마이크를 출시하고 있으며 미니-폰플러그, 미니-XLR, 또는 Switchcraft TA4F 커넥터와 함께 사용된다. 이 모델은 픽업 패턴 특성에서 다른 제품들과 차이가 있다. MU-55HN은 전 지향성 캡슐로 되어 있고 MU-53HN은 단일 지향성 패턴을 갖고 있다. 케이블은 헤드밴드에 고정되어 있지만 캡슐에 변화가 있을 경우 케이블은 떼어 내거나 교체할 수 있다. 캡슐의 샤프트는 완전히 회전시킬 수 있으며 다른 길이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 두 모델은 흑색이나 베이지색이며 40Hz~20kHz(+/-3dB)의 주파수 특성을 갖고 있다. 최대 음압은 145dB이다. 케이블 길이는 55인치이며 각 모델의 무게는 0.8온스이다.
무선 마이크의 Airline series의 한 부분으로서 Samson은 AH01/QV 보컬 헤드셋 트랜스미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트랜스미터가 벨트에 있기 보다는 실제로 헤드밴드 자체에 내장되는 독특한 디자인 특징을 갖고 있다. 이것은 두 장비가 동일한 물리적 장비의 한 부분이며 단지 몇 인치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와 트랜스미터 사이의 커넥터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800MHz에서 동작하며 하나의 AAA 배터리로 최대 14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Sennheiser는 HSP2와 HSP4 마이크로 헤드셋 마이크 시장에 진출하였다. HSP2는 전 지향성 모델이며 HSP4는 카디오이드 캡슐을 갖고 있다. 각 모델은 윈드스크린이 통합되고 착탈이 가능하며 직경 0.03인치의 완전히 조절 가능한 마이크 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 모델은 여섯 가지 종류의 커넥터와 색상으로 되어 있다. 마이크 붐은 헤드셋의 어느 쪽으로도 붙일 수 있다. 주파수 특성은 40Hz~20kHz이고 최대 음압 레벨은 150dB이며, 이들 컨덴서 캡슐의 동작 전압 범위는 4.5V~ 15V이다. 케이블을 제외한 장비의 무게는 0.3온스이다
.
Shure는 일렉트릿 형태의 WH30 컨덴서 마이크를 출시하고 있다. 이 캡슐은 최대의 피드백 억제를 위해 단일 지향성 특성을 갖고 있으며 주파수 특성은 40Hz~20kHz이다. 이 마이크는 유연한 구즈넥에 마운팅 되며 와이어 프레임은 어느 사이즈로도 조절 가능하다. 통합된 탄성의 헤드밴드는 활동이 많은 공연자를 위한 안정적인 헤드셋을 지원한다. 이 장비는 또한 노이즈 방지를 위한 방진 마운트와 스냅식의 윈드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이 마이크에는 두 개의 버전이 있으며 4핀 미니 커넥터의 WH30TQG와 10ft. 케이블과 인라인 프리앰프가 있는 유선의 표준 커넥터 버전인 WH30XLR이 있다.
Special Propjets는 방수형의 SP-H20 고강도 헤드셋 마이크를 제공하고 있다. 이 마이크는 고무로 코팅된 철제 헤드밴드와 착탈이 가능한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일렉트릿 컨덴서 마이크의 폴라 패턴은 양방향성이고, 주파수 특성은 100Hz~15kHz이며, 최대 SPL은 120dB이다. 두꺼운 이어 루프와 탄력 있는 고무 재질의 헤드밴드는 매우 활동적인 사용자를 위해 확실하게 밀착되는 헤드셋을 제공한다. 또한 추가되는 장비로서 가능한 인라인 배터리 모듈도 있다.
Bennett Liles는 애틀랜타 지역의 프리랜서 텔레비전 프로덕션 엔지니어이며 A/V 전문가이다. 그는 정부의 영상물 제작, 원격 교육, 그리고 화상회의 시스템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첨부파일
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관리자게시 게시안함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

수정 취소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화살표TOP
  • 버튼
  • 버튼
  • 버튼
 

QUICK ICONS

라인

  • 제품문의
  • 기술자료
  • 설치사진
  • 회원가입
  • 마이쇼핑
  • 상품검색
  • 장바구니
  • 관심상품
  • 적립금
  • 쿠폰관리
  • 내게시물
  • 배송조회

TODAY VIEW

이전 제품다음 제품

barbar